취업과 진학을 선택할 때, 장애 학생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어려운 점들

본문
취업과 진학을 선택할 때, 장애 학생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어려운 점들
고등학교에서 성인으로의 전환은 누구에게나 스트레스가 될 수 있지만, 장애가 있는 학생들에게는 특히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경우에 그들은 그들을 옹호하는 부모들과 교육자들로 구성된 지원 팀에 둘러싸여 있었습니다.
하지만, 졸업 후에 장애를 가진 학생들은 종종 그들의 미래를 계획하고 그들의 목표를 성취하는 것에 전적으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 청소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장 일반적인 장벽 중 몇 가지를 검토하고, 부모와 교육자들이 그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할 것입니다.
학교나 고용주에게 그들의 장애를 공개하지 않음
장애 학생들이 대학교에 진학하거나 취업하는 상황에서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자신의 장애를 공개하는 것을 소홀히 하는 것입니다.
일단 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그들은 입학한 대학교 또는, 취업한 고용주에게 그들의 장애를 공개할 책임이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최근의 한 연구는 학습 장애가 있는 학생들의 4분의 1만이 그들의 대학에 그들의 장애를 공개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젊은이들이 자신의 장애를 공개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장애 서비스를 모르거나 장애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
- 장애로 인해 교직원의 부정적인 시선을 받고 싶지 않음
- 교수/고용주 및 기타 학생/동료들이 자신을 게으르거나 부당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것을 우려함
- 편의시설의 중요성과 이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함
편의시설이나 개조된 시설을 찾고 있지 않음
장애를 학교나 고용주에게 공개하지 않은 직접적인 결과는 편의시설이나 개조된 시설의 부족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젊은 성인의 19%만이 고용주에게 자신의 장애를 공개했고, 5%만이 편의를 제공받고 있었습니다.
일반적인 편의시설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타이밍 – 테스트 시간 연장 및 잦은 중단
보조 장치 – 녹음 장치, 필기 도구, 수화 통역기 등.
설정 – 우선 좌석, 특수 조명, 조용한 공간 등.
프레젠테이션 – 대형 인쇄물, 지정된 판독기, 구두 설명서 등.
고등학교 때부터 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위한 전환의 또 다른 장벽은 자존감과 기대의 부족입니다.
그들은 동료들로부터 고립되어 있거나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장애가 일상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들과 학교 직원들이 고등학교 때 그들을 옹호했을 수도 있지만, 그들은 졸업 후에 갑자기 그들 자신을 보호할 책임이 있습니다.
장애인이 자기의 권리를 주장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장애를 가진 젊은 성인들이 성장하는 사고방식을 개발하도록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도전 과제를 보다 독립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극복할 수 있는 기회는 자신감을 형성합니다.
궁극적으로, 자기의 권리를 배우는 것은 고등학교에서 독립적인 삶으로의 전환을 훨씬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젊은이들의 취업난
만약 장애 학생들이 졸업 후에 취업을 선택한다면, 그들은 직업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사실 가장 최근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장애를 가진 성인의 46%만이 수익성 있는 직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비해 건강한 개인은 71%였습니다.
게다가 장애를 가진 성인들은 그들의 건강한 동료들에 비해 노동력을 포기할 가능성이 두 배나 높았습니다.
장애청년들이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률이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오해와 고정관념은 왜 젊은 장애인들이 직장을 기피하는지 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특정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 접근성이 부족하면 그들이 돈을 벌 수 있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문제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댓글목록0